300x250
요즘 와이파이만으로는 인터넷이 느리거나 끊기는 일이 많아서, 작은방에 직접 유선 인터넷을 설치해봤어요! 노트북이 두 대나 있고, 둘 다 랜포트가 없어서 고민했는데, 생각보다 준비도 간단하고 설치도 쉬워서 공유해보려고요 😄
📦 준비한 장비 (쿠팡 링크 포함)
- ✨ CAT6 랜선 (5m) 처음 길이 측정후 길이가 짧아 다시 주문 넉넉하게 10m로 주문했어요
- ✨ ipTIME H8005 스위치 허브 (5포트)
- ✨ USB to LAN 어댑터 (노트북용) × 2개
총 비용은 약 5만 원 정도 들었고, 하루이틀 안에 배송도 금방 왔어요!
🔧 설치 방법
📶 공유기 (거실) → 랜선 → 스위치 허브 (작업할 방) → 노트북 1 & 2
- 스위치 허브는 포트 구분 없이 아무 곳에 연결해도 자동 인식되니까 자유롭게 꽂아주면 돼요.
- USB 어댑터를 노트북에 꽂고 랜선을 연결하면 바로 인터넷이 잡혀요. 정말 간단합니다!
📊 인터넷 속도 비교 (Speedtest 결과)
연결 방식다운로드업로드핑(Ping)
🚀 유선 | 94.96 Mbps | 93.86 Mbps | 3ms |
📶 와이파이 | 66.27 Mbps | 93.24 Mbps | 6ms |
다운로드 속도는 유선이 약 40% 더 빠르고, 핑(Ping) 수치도 낮아서 체감 반응 속도가 확실히 좋아졌어요.
📝 Ping은 무엇일까?
Ping은 “내 컴퓨터 → 서버 → 다시 내 컴퓨터”로 돌아오는 시간을 말해요. 다음 같은 수치가 나오는데, 높을수록 반응속도가 느립니다.
핑(ms) | 반응속도 | 설명 |
1~20ms | 💚 최상급 | 게임/화상회의도 완전 부드러움 |
20~50ms | 💛 양호 | 일상 사용 충분함 |
50~100ms | 💜 보통 | 살짝 딜레이 생길 수 있음 |
100ms 이상 | 💚 불편함 | 게임 렉, 줌 버벅임 가능 |
핑은 숫자가 낮을수록 좋고, 유선이 와이파이보다 핑을 더 안정적으로 유지해줘요.
✨설치 후기
- 랜선 하나로 노트북 2대를 연결해서 작업 효율이 눈에 띄게 좋아졌어요.
- 설치도 어렵지 않고, 기능 조절도 필요 없이 바로 인식돼서 편해요.
- 4K 영상도 끊김 없이 재생되고, 웹페이지도 바로바로 열립니다!
- 작업용, 스마트폰 게임, 화상회의나 줌 토론도 랜선 하나로 확실히 달라진 세상이라고 느낄 정도예요.
300x250